오일러스
오일러스 소개주유소 정보마당

공공유류 협약 주유소 장점 및 단점, 신청 방법까지 알아봐요.

2025.05.06
공공유류 협약 주유소

안녕하세요. 주유소 운영 관리 앱 오일러스입니다.

올해 S-OIL이 유류공동구매 사업자로 재선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2025년 4월 1일부터 2028년 3월 31일까지 S-OIL 주유소는 공공유류 협약 주유소로 신청할 수 있어요.

에쓰오일 공공유류 협약주유소

아직 공공유류 협약 주유소가 아닌 사장님들께서는 공공유류를 취급해야 할지 고민이 많으실 텐데요.
결정하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공공유류의 장단점을 정리해 봤습니다.

그럼 먼저 공공유류가 무엇인지부터 자세히 알아볼까요?




공공기관 유류공동구매(공공유류)란?

공공유류 사업은 공공기관이 기름을 공동 구매해서,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만든 제도입니다.
2012년부터 시행되었으며,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이 유류구매카드를 사용해 협약된 주유소에서 주유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공공기간 유류 공급 지정 주유소

✅ 공공유류 구매 대상은?

✔ 도청, 시청 등 지방자치단체
✔ 소방서, 경찰서, 읍∙면∙동사무소
✔ 학교 및 기타 공공기관

이들은 유류구매카드를 통해 협약 주유소에서만 주유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협약 주유소가 되면 공공기관 차량들이 꾸준히 방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공공기관에서 공공유류를 이용하면 어떤 혜택을 받나요?

✔ 즉시 3.41% 할인 제공
✔ 최대 1.1% 캐시백 환급

공공기관이 공공유류 협약 주유소에서 주유하면, 즉시 할인 3.41%가 적용됩니다.
이 중 절반은 정유사가, 나머지 절반은 주유소가 부담합니다.(2025년 기준 S-OIL 1.86%, 주유소 1.55% 부담)
또한, 유류구매카드를 사용하면 이용 금액의 일부(최대 1.1%)를 캐시백으로 환급받을 수 있어요.
이러한 혜택 때문에 공공기관에서는 공공유류 협약 주유소를 선호하게 되는 거죠.

✅ 공공유류 협약 주유소란?

공공기관이 유류구매카드를 사용해 기름을 넣을 수 있도록 계약을 맺은 주유소입니다.
앞으로 S-OIL은 전국 1,695개 협약 주유소를 운영할 예정이라고 해요.
단, S-OIL 주유소라면 자동으로 계약되는 것이 아니라, 신청한 주유소에 한 해 협약이 진행됩니다.



공공유류 취급 시 장단점이 무엇인가요?

공공유류 협약 주유소 신청 전에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충분히 검토하는 게 중요하겠죠?


어떤 장점이 있나요?

1. 고객 신뢰도 상승
공공기관이 이용하는 주유소라는 점에서 가짜 석유나 정량 미달 걱정이 없다는 신뢰를 얻을 수 있어요.

2. 안정된 수요 확보
공공기관 차량이 꾸준히 방문하여 일정한 매출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공기관 차량이 오가면서 일반 운전자 유입 효과도 기대할 수 있어요.


어떤 단점이 있나요?

1. 수익성 문제
즉시 할인(3.41%) 중 주유소가 절반(약 1.55%)을 부담해야 하므로, 마진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마진을 보전하기 위해 가격을 인상하는 경우도 있지만, 정부에서는 고가 판매 행위를 규제하고 있어요.

2. 추가적인 고객 상담(CS) 업무 발생
공공유류카드 사용과 관련하여 일반 고객 응대 외 추가적인 문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제 과정의 문제나 공공기관의 정산 절차 관련 문의로 운영 부담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공공유류 할인하면 마진이 안 남을 수도 있어요.

공공유류가 왜 저렴하고, 어떻게 할인되는 건지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공공유류가 저렴한 이유는 정부(조달청)가 대량 공동구매를 통해 가격을 낮추기 때문입니다.

✅즉시 할인 3.41% 중 1.55%는 주유소 부담, 나머지는 정유사 부담
✅즉, 주유소는 판매 가격에서 약 1.55% 할인 적용

따라서 이미 저렴한 가격 정책을 유지하는 주유소라면, 추가 할인 부담으로 인해 마진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결국 운영 전략에 따라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고정 고객 확보가 필요한 주유소라면 고려할 만함
✔️ 대량 판매로 회전율을 높이고 싶다면 유리
✔️ 유류 마진이 낮은 시기에는 부담이 될 수도 있음



공공유류 협약 주유소 신청 방법

공공유류 협약 주유소 신청을 하고 싶은 사장님이라면 다음 절차에 따라 신청하시면 됩니다.

1. S-OIL 담당 영업사원과 상담 후 협약 신청
2. 전자 계약 진행
3. 계약 완료 후 공공유류 판매 시작



공공유류 사업 참여 여부를 고민 중이라면, 현재 주유소 운영 방식과 마진 구조를 고려해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유소 상황에 따라 공공유류 협약 주유소가 되는 것이 무조건 좋은 선택이 아닐 수 있어요.
주유소 운영 방향에 맞춰 신중하게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참고자료
- S-OIL
- SBS뉴스

앱 다운로드